여기서 스프링 프로젝트를 생성할 수도 있고, 본인이 인텔리제이를 사용해서 그냥 프로젝트를 생성할 수도 있다.
본인 취향에 맞게 하시면 됩니다.
1. Gradle 파일을 open해줘야 합니다. 또한 오픈할 때 폴더를 같이 열거냐고 물어보면 같이 열어서 build.gradle을 설정해주면 됩니다.
2. 또한 JDK 설정경로에 한글이 포함되어 있으면 run 할 때 문제가 생깁니다
3. Gradle은 JDK17은 사용이 안 된다고 하니 버전을 잘 살피시길 바랍니다.
4. 성공 시
이 화면이 뜨면 설정을 성공한 것이기에 다음 localhost:8080에 접속하면 아래와 같은 페이지가 나옵니다.
주의점
JDK 버전과 Gradle 또는 여러 버전을 잘 보고 맞게 진행해야 합니다.
그렇지 않으면 아예 구동이 안 되기 때문에 여러가지를 다 맞게 진행해야합니다.
인텔리제이를 처음 사용할 땐 조금 어렵고 복잡한것 같지만 사용하다보면 혁명이라고 합니다.
비싸서 지금은 무료판을 쓰지만 경험상 여러곳에서 쓰는 이유가 있을 거라 생각하며 진행해보겠습니다.
'Back-End > Spring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SpringBoot][스프링 입문] - 2.2 MVC와 템플릿 엔진 (0) | 2021.12.21 |
---|---|
[SpringBoot][스프링 입문] - 2.1 정적 콘텐츠 (0) | 2021.12.21 |
[SpringBoot][스프링 입문] - 1.4 빌드하고 실행하기 (0) | 2021.12.20 |
[SpringBoot][스프링 입문] - 1.3 View 환경설정 (0) | 2021.12.20 |
[SpringBoot][스프링 입문] - 1.2 라이브러리 (0) | 2021.12.20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