아래와 같이 사용자/그룹 생성을 하라.
- sysadm 라는 그룹을 생성하세요.
- natasha 사용자를 생성하고, 보조 그룹으로 sysadm에 속하게 하세요.
- harry 사용자를 생성하고, 보조 그룹으로 sysmgrs에 속하게 하세요.
- sarah 사용자는 시스템에서 상호작용 shell에 접근할 수 없으며, sysmgrs 그룹의 구성원이 아닙니다.
- natasha, harry, sarah의 비밀번호는 모두 password로 설정하세요.
sysadm 그룹 생성
groupadd sysadm
harry natasha 사용자 생성 및 sysadm 그룹에 속하게 하기
useradd -G sysadm harry
useradd -G sysadm natasha
sysadm에 속한 user 확인 ( 생성확인 )
cat /etc/group | grep sysadm
id natasha
sysadm에 속하지 않고 쉘 접속이 허용되지 않는 사용자 sarah 생성
useradd -s /sbin/nologin sarah
패스워드 설정 방법
passwd harry
passwd natasha
passwd sarah
- cat /etc/passwd | grep no
둘의 차이점?
-p 옵션을 사용하는 경우엔 평문을 저장해서 보안이 취약
passwd는 입력받은 값을 평문으로 저장하지 않고 암호화해서 저장
사용자나 그룹을 잘못 설정한 경우 삭제하는 방법
// 사용자 삭제 -r 옵션을 사용해야 싹다 깔끔하게 삭제 됨
userdel -r [username]
// 그룹 삭제
groupdel [groupname]
root 계정으로 이동
which passwd로 해당 passwd 파일이 있는 위치 찾기
visudo 입력 후 엔터
allows people in group wheel to run all commands 아래 추가
$sysadm ALL= /usr/sbin/
:wq 엔터
groupadd options
-f | --force | 그룹이 이미 존재해도 성공적으로 종료. GID가 이미 사용 중이면 -g 옵션 무시 |
-g | --gid GID | 새 그룹에 사용할 GID 지정 |
-h | --help | 도움말 메시지를 출력하고 종료 |
-K | --key KEY=VALUE | /etc/login.defs 기본값을 덮어쓰기 |
-o | --non-unique | 중복된(고유하지 않은) GID를 허용 |
-p | --password PASSWORD | 새 그룹에 사용할 암호화된 비밀번호 지정 |
-r | --system | 시스템 그룹 생성 (UID/GID 범위 다름) |
-R | --root CHROOT_DIR | 해당 디렉토리로 chroot 후 명령 실행 |
-P | --prefix PREFIX_DIR | 루트 디렉토리에 대한 접두사 지정 (일반적으로 --root와 유사) |
-U | --users USERS | 그룹에 속할 사용자 목록 (쉼표로 구분된 리스트) |
useradd options
-c | --comment COMMENT | 사용자의 설명 필드 (예: 전체 이름 등) |
-d | --home HOME_DIR | 홈 디렉토리 지정 (기본은 /home/username) |
-e | --expiredate YYYY-MM-DD | 계정 만료일 설정 |
-f | --inactive DAYS | 비밀번호 만료 후 비활성화까지 유예일수 |
-g | --gid GROUP | 기본 그룹 지정 |
-G | --groups GROUPS | 추가 그룹 목록 지정 (쉼표로 구분) |
-k | 기본 스켈레톤 디렉토리를 복사하지 않도록 설정 | |
-K | --key KEY=VALUE | /etc/login.defs 설정값 덮어쓰기 |
-m | 홈 디렉토리 자동 생성 | |
-M | 홈 디렉토리 생성 안 함 | |
-N | 동일한 이름의 그룹 생성 안 함 | |
-o | UID 중복 허용 | |
-p | --password PASSWORD | 암호화된 비밀번호 지정 |
-r | 시스템 계정 생성 (UID 범위 다름) | |
-s | --shell SHELL | 로그인 셸 지정 (예: /bin/bash) |
-u | --uid UID | 사용자 UID 직접 지정 |
-U | 사용자와 동일한 이름의 그룹 생성 | |
-Z | SELinux 사용자 지정 |
'자격증 > RHCSA' 카테고리의 다른 글
0. RHCSA 서버 진입 시 문제 상황 대처 방법 (0) | 2025.04.22 |
---|---|
2. RHEL 9에서 Repository 설정 (1) | 2025.04.22 |
1. RHEL 9에서 Network 설정 및 Hostname 설정 (0) | 2025.04.22 |
1. vmware workstation에서 rhel 9를 사용해보자(설치) (0) | 2025.04.21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