Back-End/Spring

[Spring][스프링 기본편] - 16. 싱글톤 컨테이너

얄루몬 2022. 1. 26. 10:29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1. 싱글톤 컨테이너란?

스프링 컨테이너에서 싱글톤 패턴의 장점을 살리고 단점을 해결해서 사용하는 것을 의미한다. 

(싱글톤 단점을 해결 + 객체 인스턴스를 싱글톤 1개로만 관리해준다.)

 

 

[스프링에서의 싱글톤을 사용하게 되면?]

  • 스프링 컨테이너는 싱글턴 패턴을 적용하지 않아도, 객체 인스턴스를 싱글톤으로 관리한다.
    • 이전에 설명한 컨테이너 생성 과정을 자세히 보자. 컨테이너는 객체를 하나만 생성해서 관리한다.
  • 스프링 컨테이너는 싱글톤 컨테이너 역할을 한다. 이렇게 싱글톤 객체를 생성하고 관리하는 기능을 싱글톤 레지스트리라 한다.
  • 스프링 컨테이너의 이런 기능 덕분에 싱글턴 패턴의 모든 단점을 해결하면서 객체를 싱글톤으로 유지할 수 있다.
    • 싱글톤 패턴을 위한 지저분한 코드가 들어가지 않아도 된다.
    • DIP, OCP, 테스트, private 생성자로 부터 자유롭게 싱글톤을 사용할 수 있다

 

 

 

2. 싱글톤 컨테이너 적용 테스트

[참조값이 같은데 테스트가 실패한 이유는?]

  • isNotSameAs X -> isSameAs로 사용했기 때문에 테스트 코드 자체에 문제 !

 

 

[싱글톤 컨테이너 테스트]

    @Test
    @DisplayName("스프링 컨테이너와 싱글톤")
    void springContainerTest(){

        ApplicationContext ac = new AnnotationConfigApplicationContext(AppConfig.class);
        MemberService memberService1 = ac.getBean("memberService",MemberService.class);
        MemberService memberService2 = ac.getBean("memberService",MemberService.class);


        //참조값이 다른 것을 확인
        System.out.println("memberService1 = " +memberService1);
        System.out.println("memberService2 = " +memberService2);

        //memberService1 != memberService2
        assertThat(memberService1).isSameAs(memberService2);
    }

 

 

 

3. 스프링 빈이 싱글톤을 적용한 방식

스프링 컨테이너에서 빈 객체를 미리 생성해둔 뒤 고객의 요청이 올 때 마다 객체를 생성하는 것이 아닌, 이미 만들어 놓은 객체를 공유하여 효율적인 재사용을 하고 있다.

 

[참고]

  • 스프링의 기본 빈 등록 방식은 싱글톤이지만, 싱글톤만을 지원하는 것은 아니다.
  • 특별한 경우 요청이 올때마다 새로운 객체를 생성해서 반환하는 기능도 제공하고 있다.
    • 이는 빈 스코프에서 알아보도록하자.

 

 

 

3. 스프링 컨테이너 적용 후

싱글톤 방식을 스프링 컨테이너에 적용했을 때 수많은 장점이 있지만 이 역시도 단점이 존재한다. 다음 포스팅에서는 싱글톤 방식의 주의점을 살펴보도록 하겠다.

 

 

 

4. 출처

https://inf.run/7GX1

 

스프링 핵심 원리 - 기본편 - 인프런 | 강의

스프링 입문자가 예제를 만들어가면서 스프링의 핵심 원리를 이해하고, 스프링 기본기를 확실히 다질 수 있습니다., - 강의 소개 | 인프런...

www.inflearn.com